골반의 역할




 

골반은 척추를 받치고 있는.

몸통의 바닥에 해당합니다.







몸통의 근육과 다리의 근육들이 

골반에 많이 붙어있어

몸의 중심을 잡아주고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팔 다리의 근력 뿐만 아니라 

균형에까지 영향을 줍니다.







또한 골반은 상체의 체중을 1/2로 나눠 

양측 다리에 전달합니다.


이는 골반이 장기간 틀어져있으면

한쪽 무릎, 발목등 관절이나 근육에 

무리가 간다는 뜻입니다.





 


허리에서 나오는 중요한 신경들도 

골반을 지나 다리로 갑니다.


골반이 틀어져 근육의 길이가 달라지게되면 

이런 신경들이 압박을 받게 되어

좌골신경통이나 다리저림, 통증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렇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골반은 

예로부터 중요성이 인식되어

동양에서는 단전서양에서는 코어 등 

관련 용어들이 존재하고

그 운동법들 또한 많습니다.




골반이 틀어지는 원인



골반이 틀어지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누구나 오른손잡이왼발잡이 등 

자주 사용하는 쪽이 있어

조금씩 틀어지기 마련입니다.



반복적으로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일을 하거나


습관적으로 안좋은 자세를 하는 경우


한자세로 오래 있는 경우나

통증이 있는 경우

편하거나 안 아픈쪽으로

자세가 기울어 가속화 됩니다.



100% 완벽한 사람은 없지만

어느 정도의 정상범위가 넘어가면

서서히 통증이나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골반 틀어짐 증상 체크


나의 골반은 어떤지

골반 틀어짐 증상을 체크해볼까요?

 





 몇 개나 해당되시나요? ^^



 

골반이 틀어지게 되면

처음엔 아무런 증상이 없을지라도

서서히 근육의 길이나 뼈의 모양

관절의 모양이 변하게 됩니다.



무릎등의 연골의 마모도 한쪽이 심해지게 되고

골반 안에 있는 장기들도 영향을 받아 

소화불량이나 생리통이 심해질수 있습니다.

 



관리



따라서 신체 변형이나 

통증이 나타나기 전에


주기적으로 골반교정이나 

골반교정 스트레칭등으로


골반을 포함한 몸의 정렬을 

맞춰주는게 중요합니다.



 

주기적으로 

자동차의 얼라이먼트(정렬)를 맞춰주듯이


몸도 주기적으로 

관리하시는게 좋겠죠?



 

나의 몸을 오래 건강하게 유지하려면

골반의 건강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





 

 

척추협착증

 

 ‘척추관 협착증’이라고도 합니다.

디스크 말고도 허리를 괴롭히는 불청객이죠.

선천적인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연령이 증가하면서 나타나는 퇴행성 척추 질환입니다.

 

 

허리의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신경을 누르게 되면

통증과 저림과 같은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지는 이유

 

주변 인대가 부풀거나, 디스크가 튀어나오거나,

뼈가 자라나는 등의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정상 성인의 신경 통로는 15~27mm정도 인데,

10~12mm 이하인 경우 협착증이라고 진단합니다.

움직임이 가장 많은 4번째 허리뼈(L4)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협착증은 퇴행성 디스크와 증상이 비슷하여 감별진단을 잘 해야 하지만

퇴행성 질환인 만큼 동시다발적으로 오는 경우가 아주 흔합니다.

 

 

증상

 

 

허리통증과 다리의 통증이 생기고, 절뚝거리면서 걷게 되기도 합니다.

통증은 허리를 앞으로 구부릴 때 호전되고,

허리를 펴거나 걸을 때 악화됩니다.

 

걸을 때 다리에 통증이 나타나며, 잠시 앉아서 쉬면 증상이 완화됩니다.

특히 저녁에 많이 아픕니다.

 

 

 

부위별 증상

 

 

01. 중앙부 협착증:

 

 

허리의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의 중앙부가 좁아져 신경을 누르는 경우로

허리통증은 크게 심각하지 않으며, 양측 다리 저림이 반복됩니다.

심한 경우 대소변 장애까지 생길수 있습니다.

 

 

02. 측부 협착증:

 

허리의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의 중앙부의 바깥 외측부가 좁아져

척수 신경뿌리 혹은 혈관을 압박하는 경우로

허리보다 다리가 더 아프고 저리며 당깁니다.

증상이 말초혈관장애 질환과 유사하므로 진단을 잘 해야 합니다.

 

 

03. 척추사이구멍 협착증:

 

 

척추와 척추사이로 신경뿌리가 나가는 구멍이 있습니다.

여기가 좁아지는 경우엔 허리에는 큰 불편이 없지만

걸을 때 한쪽 다리만 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치료

 

척추협착증은 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증상의 완화는 기대할 수 있지만, 완치는 없습니다.

감기처럼 바이러스나 병균때문에 걸리는 질병이 아니고

신체 구조가 변해가면서 오는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물리치료로 통증을 조절해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줄이고

 

 

도수치료, 자세교정과 스트레칭,

허리근육 강화운동을 통해 척추의 안정성 도모하여

증상의 악화를 최대한 지연시키는 것이 상책입니다.

 

약물로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감소시키기도 하며

증상이 심할 땐 시술이나 수술을 하게 됩니다.

 

척추협착증은 퇴행성 질환인 만큼,

물리치료와 운동은 수술 여부와 상관없이

지속적이고 꾸준하게 하여

증상의 악화를 최대한 지연시키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허리통증이 생겨 ‘혹시 허리디스크가 아닌가’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렇다면 이 글을 읽어보세요.

 

 

 

허리의 구조

 

 

사람의 허리뼈는 5개입니다. (그림의 L1, L2, L3, L4, L5)

허리뼈는 상체를 지지하여 골반과 하지에 체중을 전달합니다.

 

 

 

 

척추 사이사이에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디스크’가 있습니다.

 

사람의 허리에서 제일 많이 움직이는 부분은

허리뼈 4번, 5번 인데요,

 

그래서 흔히 ‘디스크’라 불리우는 ‘추간판 탈출증‘은 충격을 제일 많이 받는

허리 3번, 4번, 5번에  흔하게 생깁니다.

 

척추 앞쪽에는 단단한 인대로 가로 막혀 있어서

‘추간판 탈출’은 뒤쪽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허리디스크증상

 

 

 

뒤쪽으로 튀어나온 디스크(Disc)가 신경(Nerve)을 눌러서

허리통증 및 신경통, 다리가 저리거나 감각이 이상해지고 근력 약화가 발생합니다.

 

 

 

초기 증상

 

허리만 아프다

앉아 있을 때 허리통증이 심해지며 서 있으면 완화된다.

아침에 다리가 뻐근하고 활동하면 괜찮아진다.

허리를 구부리거나 뒤로 펼 때 허리가 아프다.

앉았다 일어나면 허리를 펴기 힘들다.

 

 

악화 증상

 

허리가 아프면서 척추가 비뚤어지고 옆으로 굽어 보인다.

허리만 아팠는데 허리와 다리가 동시에 아프다.

허리통증이 사라지면서 다리가 더 아프기 시작한다.

대변을 보거나 기침, 재채기할 때 아프다.

누워서 다리를 올리면 허리통증과 다리까지 이어지는 통증이 생긴다.

 

 

 

원인

 

 

 

반복되는 작업 또는 일상생활에서 서서히 진행되는 것이 대부분이고

퇴행이나 외상 등으로 발생합니다.

 

 

 

 

특히 오래 앉아 있거나 허리를 구부리면

디스크의 압력이 올라가고 수분이 빠져나와 변성이 일어나므로

이러한 자세는 가급적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허리디스크의 진실

 

 

 

 

허리가 아파 병원에 가서 사진을 찍어보니 ‘디스크’다. 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큰 병에 걸린것처럼 불안해합니다.

 

퇴행성변화는 약 18세부터 시작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성인은 ‘추간판 탈출증이 있다’ 라고 보셔도 됩니다.

 

나이를 먹고 노화가 서서히 진행되는 과정이며,

더 이상 진행하지 않게 관리해 나가는것이 중요합니다.

 

주목할것은

지금 있는 허리통증이나 다리저림이 허리디스크 때문이 아닐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허리 근육의 놀람이나 근육통, 좌골신경통 등으로 통증이나 다리저림이 생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디스크는 퇴행성 질환이므로 완치가 없습니다.

수술이나 시술로 튀어나온 디스크를 녹여내거나 제거하여 증상을 없앨 수는 있어도, 재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다음글에서는 관리방법을 알아봅시다.

 

 

 

도움이 되셨나요?^^

 

 

 

+ Recent posts